전 세계 글로벌 기업 중 하나인 코카콜라 기업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1. 코카콜라기업소개
Real Magic
이라는 코카콜라의 슬로건이다.
코카콜라 기업에서 생산하는 콜라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는 음료이다.(트럼프는 하루에 20~25잔 정도 마신다고 한다)
매일 200여 국가에서 매일 20억 잔씩, 초당 2만 잔이 어마어마하게 팔리고 있다고 한다.
200개가 넘는 자체 브랜드, 전 세계 70만 명의 직원과 3000만 개의 소매 판매점을 가진 세계 최대의 다국적 음료 기업이다.
맥도널드, iPhone과 함께 미국식 자본주의와 세계화를 상징하는 트레이드마크가 되었다
2. 코카콜라의 역사
미국의 약사인 존 스티스 펨버턴에 의해 만들어지고,, 원래는 소화제와 포도주가 들어갔다고 한다.
하지만 포도주에 함유된 알코올 때문에 많은 사람이 마시지 못하자 포도주를 탄산수로 대체해서 새로운 음료를 만들었다.
펨버턴의 경리 직원이었던 프랭크 M. 로빈슨(Frank M. Robinson)이 주성분의 이름을 조합해 코카콜라라는 이름을 붙였다.
1886년 당시에는 첨가물 없이 순수히 코카잎 추출 성분과 콜라나무 껍질 원액과 탄산수로 만들어졌었다.
이것만으로는 부족해서 첨가물을 더 넣고 만든 것이 오늘날의 콜라다.
그리고 난 후 로빈슨은 펨버턴과 동업자가 되었고, 펨버턴 사후에는 에이서 캔들러와 동업하여 코카콜라 컴퍼니를 창립했다. 특히 로빈슨은 코카콜라의 독특한 흘림체 로고를 디자인하기도 했다.
처음 이 음료는 그가 운영하는 약국의 소다수 판매 진열대에서 잔당 5센트로 판매되었지만 별로 판매량이 좋지 않았다.
2년 후 그는 이 청량음료에 대한 제조, 판매 등 모든 권리를 단돈 122만 2천 원에 팔아버렸다.
이 권리를 구매한 사람이 약제상인 에이서 캔들러이다.
에이서 캔들러는 이 청량음료의 가능성을 알아보고 프랭크 로빈슨과 함께 1892년에 코카콜라 컴퍼니(The Coca-Cola Company, TCCC)를 설립했다.
에이서 캔들러의 탁월한 영업 능력으로 판매량은 늘면서 명실공히 미국을 상징하는 청량음료로 성장하게 되었다.
현재 코카콜라 병의 디자인은 1915년 캔들러가 상금 1달러를 걸고 보기만 해도 코카콜라임을 알 수 있을 만큼 특색 있는 병을 만들기 위해 공모전을 열어서 채택한 것이다.
이 공모전에서 루트 유리 공장(The Root Glass Company)의 디자이너였던 알렉산더 새뮤얼슨(Alexander Samuelson)과 얼 딘(Earl Dean) 등 직원 5명이 제안한 디자인이 뽑혔다.
2012년까지만 해도 인터브랜드 선정 브랜드 가치 순위에서 늘 1위를 차지할 만큼 강력한 브랜드였고, 마이크로소프트나 맥도널드는 비교도 되지 않았다.
시대가 바뀌면서 2019년부터 IT 기업들의 브랜드 가치가 급성장하였고, 이에 2020년 기준으로는 순위가 조금 내려앉아 6위에 랭크되어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 음료 시장에 진출해 있는 만큼 여전히 엄청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거대 기업 브랜드다.
코카콜라의 본사는 미국 조지아 주 애틀랜타에 위치해 있다.
3. 알쓸신잡
3-1. 이름에 대하여
콜라(Cola)는 코카콜라뿐이 아니라 펩시 등 다른 회사의 검은색 단물도 사용하는 단어이다.
실제로 코카콜라가 처음 만들어졌을 때는 코카나무 잎을 그대로 삶은 베이스에 콜라나무 열매 추출물 외 각종 향료를 섞어 만든 것이었기에 코카-콜라가 된 것이었다.
코카콜라만을 칭할 때는 보통 코크(Coke)[koʊk]라고 한다
제로 콜라는 '코크 제로'라고 하는 것이다.
3-2. 제조의 비밀
초기 재료는 코카 잎 성분 중에 다량의 마약 성분이 포함되어 있었다곤 하나 지금은 정부 관계자 감독하에 코카 잎을 삶은 후 의료용 코카인을 의료 기관용으로 회수한 후 코카인이 제거된 것을 베이스로 만든다.
특정 화합물을 제거한다 한들 100% 제거는 안 되겠지만 코카콜라 관련 서적에 의하면 정부의 철저한 감시하에서 몇 번씩 코카인 쥐어짜 내기를 해봐도 대충 0.037 ppb(천억 분의 3) 정도 들어 있다고 한다.
그 정도면 콜라에 든 카페인이나 물보다 안전한 수준이므로 안심해도 좋다.
대신 코카인이 주던 복잡 미묘한 향이 사라진 탓에 향미 증진의 목적으로 고농도의 카페인을 넣는다.
코카 잎 말고도 콜라나무 열매도 일부 사용되므로 콜라나무 열매의 성분인 카페인 그 외 각종 향료가 들어간다.
3-3 유리병에 대해
코카콜라 특유의 곡선을 가진 유리병은 1915년 ‘루트 유리 회사’의 기술자인 알렉산더 새뮤얼슨(Alexander Samuelson)과 얼 R. 딘(Earl R. Dean) 이들이 만들었다고 한다.
그리고 유리병을 만든 사람 이름이 '루트'로 알려지기도 했다.
1910년대 당시의 여성들에게 유행하던 호블 스커트를 입은 모습을 모티브로 만들었다는 이야기가 널리 퍼져 있다.
당시 CF 등에서도 그러한 설명이 나왔기 때문에, 코카콜라 측에서도 공식적으로도 인정을 하는 이야기다.
1920년대에 코카콜라의 아류작들이 판을 치자 병의 모양만으로도 차별화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라고 한다. 공식적으로 제대로 밝힌 바로는 코코아 열매가 모티브라고 한다. 그러나 코코아와 코카콜라는 아무 관련이 없다고 한다.
코카콜라의 생산 라인은 절대 비밀에 부쳐지고 있기 때문에 해외 공장 설립 시에도 본사에서 보내온 콜라 원액으로 콜라를 제작한다는 도시전설이 유명하다.
실은 이런 이미지를 이용해 코카콜라 회사에서 고도의 상술로 이용되고 있다.
먼저 특허법상 특허 출원 보호를 받을 시 최대 보호 기간이 제한되고 반드시 해당 기술을 공개해야 한다는 점을 역이용해 특허 출원을 하지 않고 '창업 때부터 비밀리에 전수되는 비법'이란 식으로 홍보를 하곤 하였다.
해당 BOM을 은행 비밀 금고에 보관해 두고 그 사실을 소문으로 흘린다든가, 해당 문서를 다른 지역으로 옮기면서 호송 경호원과 철통 경비를 붙여 일부러 요란하게 운송 작전을 펼쳤던 것 역시 일종의 신비감과 이슈화를 의도한 마케팅의 연장선상에 있다. 코카콜라의 마케팅의 비슷한 사례로 KFC가 있다.
4. 마케팅
코카콜라는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유명하다. 특히 TV 광고를 많이 하는 편인데, 자체적으로 제작한 CM 송과 캐치프레이즈를 내세운 TV 광고가 많은 편이다.
-1958년에서 1960년 사이에 빨간 배경이 추가됐고, 물고기의 꼬리를 연상시키는 “Fish Tail” 로고가 완성됐다. -1969년에는 부드러운 곡선의 하얀 물결 그래픽이 추가됐다.
-2011년에는 125주년을 기념하는 뜻에서, 컨투어 병에서 탄산 버블이 솟아 나오는 특별한 로고가 탄생하기도 했다.
--1960년대 코카콜라 회사는 콜라 병을 미국 특허청에 상표 등록 함으로써 아무도 흉내 낼 수 없는 코카콜라의 대표적 아이콘으로 자리 잡게 만든다. 레이먼드 로위(Raymond Loewy)는 “코카콜라 병은 세상에서 가장 완벽한 디자인이다”라고 말한 바 있다.
전 세계인이 인정한 이 콜라 병의 디자인은, 코카콜라 회사의 기업 이미지를 제대로 마케팅해 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핵심 키(key)가 되고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전 세계 글로벌 기업 중 시가 총액 상위권에 있는 코카콜라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BYE!
'기업에 대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로벌 기업-도요타 (TOYOTA)에 대하여 (0) | 2022.12.26 |
---|---|
글로벌 기업-broadcom(브로드컴)기업에 대하여 (1) | 2022.12.25 |
글로벌 기업-로슈 (Roche)에 대하여 (0) | 2022.12.23 |
글로벌기업- Abbvie (애브비)에 대하여 (0) | 2022.12.22 |
글로벌 기업 -뱅크오브아메리카(Bank of America)에 대하여 (0) | 2022.1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