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업에 대하여/기업에 대하여

글로벌 기업-알파벳(Alphabet)기업에 대하여!

by Mrs.dal 2022. 12. 3.
반응형

알파벳 기업 영어로, Alphabet이다.

 

"Imagine the unimaginable"
"상상할 수 없는 것을 상상하라"

 

 알파벳 기업은 2022년 시가 총액 1.699조 원이고 현재 전세계시가 총액 순위 3위로 기록이 되어 있다.
그래서 오늘은 알파벳 기업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1. 개요

알파벳 주식회사는 미국의 지주회사이다. 
구글과 같은 규모의 기업을 로마자 알파벳 A에서 Z까지 전부 채워 넣겠다는 목표를 담아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주식도 A, B, C 세 종류가 있다.
B는 비상장주식(구글의 이사들이 보유하고 있다)이라고 하고,

A는 의결권이 있고 C는 의결권이 없는 주식이다.

 

정식 상장되어 있는 건 A와 C 두 개뿐이다. 

2. 역사

▶2015년 8월 구글의 새로운 기업구조 개편으로 래리 페이지가 '사이드워크 랩스(Sidewalk Labs)'라는 자회사를 설립했다.
 

뉴욕에 본사를 둔 이 회사는 이미 "뉴욕 뉴시티"라는 무료 Wi-Fi 보급 등 도시 인프라 개선을 위한 기술을 개발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10월 5일부터 미국 나스닥에서 기존의 구글 주식 대신 알파벳의 주식이 거래되기 시작했다

 

▶2015년 12월 8일 구글 X 생명과학 부문의 새로운 명칭 'Verily'를 발표했다.

 

▶구글 X 란


2005년 3월 15일 구글이 시행하려고 했다가 다음날인 16일 날 돌연 취소가 된 프로젝트이다.

애플의 Mac OS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흡사한 기능을 구글 검색 홈페이지에 이식해 사용할 계획이었다고 알려져 있다.




▶2016년 2월 17일 전 세계에서 벌어지고 있는 디지털 공격과 공권력의 인터넷 탄압을 막으며,
 극단주의와 지역주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자회사 직쏘의 설립을 발표했다.


▶2017년 10월 8일 허리케인으로 폐허가 된 푸에르토리코에서 풍선을 이용해 LTE 통신망을 복구하는 프로젝트 룬을 FCC로부터 허가받았다.


▶프로젝트 룬이란

이미지출처:나무위키

구글에서 기구를 이용하여 Wi-Fi을 공급하겠다는 프로젝트였다.
세계 인구의 3분의 2는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다고 한다.

 

그래서 나온 프로젝트 룬은 외곽 지역 및 오지에 사는 사람들이 인터넷에 접속하게 하기 위함이었다.

또한 , 천재지변으로 인한 단절로부터도 인터넷에 접속하게 한다.

 

프로젝트 룬 풍선은 약 20km 성층권에서 지나간다.

 

성층권을 비행궤도로 설정한 이유는 대류권에서 일어나는 급격한 기후와 대기 변화가 없고, 바람의 방향과 속도가 일정하기 때문에 풍선이 어디로 날아갈지 쉽게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22일 동안 테스트를 했다고 한다. 지구를 한 바퀴 돌았고 비행거리는 50만 km에 달한다.

태양광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했다.

그러나 2021년 1월, 구글은 '풍선 인터넷 서비스'사업 중단을 선언했다.

왜냐하면 비용절감 실패로 인해서 룬은 사업을 이어나갈 만한 수익을 창출하지 못했고, 새로운 투자자를 찾는 것도 실패했다고 한다.

알파벳 측은 "이 기술을 상용화하는 것은 기대한 것보다 훨씬 시간이 오래 걸리고, 위험도도 높다는 것을 확인했다"라고 밝혔다.-연합뉴스. 2021.01.22.
성층권에 기구 띄워 기지국 연결하는 것이 10년 만에 종료한다고 발표하였다.



▶2021년 노동조합을 결성했다.

 

3 창업자

래리 페이지, 세르게이 브린이다.

 

래리 페이지는 누구?

미국 미시간 주에서 태어난 유대인으로서, 구글의 초대 CEO이자 설립자이다,
독특한 성격의 소유자로 유명했다.

 

비엔지니어가 엔지니어를 관리하면 안 된다는 생각으로 매니저를 전부 해고하려 시도했다고 한다.
그는 또한 신중하고 분석적인 스타일이라고 한다.


★세르게이 브린?

미국의 기업가. 같은 유대인인 래리 페이지와 함께 구글을 창업했다.
2022년 7월 기준으로 세르게이 브린의 재산은 990억 달러로서 세계 부자 랭킹 7위이다

 

유대인이지만 종교적 영향에서는 자유로운 편이라서 유대교적인 격식에 크게 구애받지는 않는 편이다.
그는 실용적이고 문제 해결에 뛰어나다고 한다.

 

본사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 마운틴뷰 구글플렉스이다.

 

4. 자회사

 

 

●Calico

알파벳이 자회사로 설립한 바이오 기업이다.

칼리코(Calico)는 안티에이징을 통한 생명 연장을 추구하는 기업이다.
고령화와 관련된 질병 퇴치 및 안티에이징을 목표로 하는 생명공학 연구 기업이다.

회사명은 California Life Company의 약자이다.

 

●CapitalG

 

알파벳의 사모 펀드 기업이다.

원래 구글 캐피털(Google Capital)이었다가 알파벳 산하로 들어왔다.

 

●DeepMind

구글이 인수한 영국의 인공지능 기업이다.

주요 목표는 기계학습(machine learning)과 신경과학(neuroscience)을 기반으로 인간 지능을 분석, 구현하는 것이다.
원래 영국 기업이라 미국에 본사가 있는 다른 알파벳 기업들과 다르게 런던에 본사가 있다고 한다.

 

이세돌 9단과 바둑 대국을 벌였던 알파고가 이곳에서 만들어졌다.

 

☆ 이세돌은 누구?
대한민국의 전직 프로 바둑기사이다
구글이 개발한 바둑 인공지능 알파고를 상대로 공식전에서 승리를 거둔 유일한 바둑기사이기도 하다.

알파고의 통산 전적은 74전 73승 1패인데 이 1패가 바로 구글 딥마인드 챌린지 매치 4국에서 이세돌에게 당한 패배이다라고 한다.



●Fitbit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업이고, 2019년 11월 21억 달러에 인수되었다.

 

●Google
모두가 아는  검색 엔진 기업이고, 알파벳의 대부분의 수익은 이 회사로부터 나온다고 보면 된다.


●Jigsaw


제3에 의한 DNS 감시를 막는 안드로이드 앱 Intra를 만든 기업이다.

2020년부터 구글로 다시 편입되었다.  뉴욕에 본사가 있다.
●Google Nest

 

스마트 홈 디바이스 제작사이다.

2014년 네스트 랩스(Nest Labs)를 구글이 인수 후, 알파벳이 설립되며 구글에서 독립하였다

그러다가, 2019년 구글 네스트로 이름을 바꾸며 구글의 자회사로 편성되었다.


●유튜브

 

우리가 아는 동영상 사이트이다.

 

●Google Fiber

광대역 인터넷과 IPTV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미국 일부 지역에서 서비스되고 있다.

●GV

 

다양한 분야의 스타트업 기업들에 투자하는 벤처 캐피털 기업이다.

회사명은 원래는 구글 벤처스(Google Ventures)였다가 알파벳 산하로 들어오면서 GV로 바뀌었다.

 

●Sidewalk Labs

 

도시 지역 교통, 에너지 등의 인프라 문제를 해결하려는 목적으로 세워진 기업이다. 뉴욕에 본사가 있다.
●Verily

생명 과학 연구 기업이다.


●Waymo

 

자율주행 기술 개발 기업이다. 애리조나 피닉스 지역에서 자율주행 택시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Wing

 

드론을 기반으로 한 화물 운송 기술을 개발하는 기업이다. 미국과 핀란드, 호주에 사무실을 두고 있다.

2019년에 호주에서 시범으로 음식 배달을 시작했다.


이상으로 , 2022년 시가 총액 1.699조 원이고 현재 전세계시가 총액 순위 3위로 기록이 된 알파벳 기업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BYE!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