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기업 테슬라에 대해 알아보자
미국의 글로벌 IT 기업이다.
전기차 분야가 주력 사업이지만 AI를 선두로 소프트웨어 분야도 업계 최상위권으로 인정받고 있다.
로봇 산업에도 뛰어들며 더이상 전기차 회사라고 하지는 않는다.
본사는 미국 텍사스 오스틴에 위치하고 있다. 설립자인 일론 머스크가 테크노 킹을 담당하고 있다.
상호명은 니콜라 테슬라로부터 따왔고, 미국의 주 중에서 가장 배출가스 축소와 내연기관 자동차 축소에 힘을 쏟는 캘리포니아에서 회사를 설립했다.
2003년 창립 이래 2017년까지 46억 달러의 적자를 기록하는 등 생존 전망이 불안한 시기가 있었다,
2018년 테슬라 모델 3의 안정적 생산에 성공하면서, 2019년 말부터 흑자 전환에 성공하였다.
2021년 2분기에는 처음으로 분기 순익 10억 달러를 돌파했다.
차량은 로드스터(2008)를 시작으로 세단 모델 S, SUV 모델 X 그리고 중형 세단인 모델 3을 차례대로 선보였으며, 중형 SUV인 모델 Y를 출시했다.
수년 안에 로드스터 2세대, 전기 트럭인 테슬라 세미, 그리고 픽업트럭인 테슬라 사이버트럭 그리고 정보가 공개되지 않은 상태인 신형 자동차를 출시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서 총 4종에 불과하던 테슬라 차종의 다양화를 계획하고 있다.
주력인 자동차 산업 외에도 에너지 저장 장치로 가정용인 파워월, 상업용인 파워팩, 가정의 지붕을 태양광 발전 시설로 전환해 주는 솔라루프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미국 캘리포니아 지역에서 테슬라 자동차 보험 제품을 선보인 바 있다.
자동차와 에너지 제품의 핵심 부품인 배터리는 3군데에서 공급을 받고 있다.
일본의 파나소닉, 중국의 CATL, 한국의 LG에너지솔루션에게 공급받고 있다.
코드명 로드러너로 알려진 자체 배터리 생산 프로젝트도 같이 진행 중이다.
2021년 10월 25일 1,024.86달러로 장을 마감하면서 최초로 주가 1천 달러를 돌파하였다.
그리고 시가총액 역시 1조 달러를 넘어섰다.
전기차 제조회사로서는 당연하고 전 세계 자동차 제조회사 중 최초로 시총 1조 달러 고지를 찍은 기업이 되었다.
테슬라 창립자에 대해 모호한 이유가 있다.
이는 창립한 사람은 마틴 에버하드, 마크 타페닝인데 공식 창립자는 마틴 에버하드, 마크 타페닝, 일론 머스크, 이안 라이트, J.B. 스트라우벨 5명이기 때문이기 때문이다.
테슬라의 시작은 2003년 마틴 에버하드와 마크 타페닝이 테슬라를 창립했다.
전기차를 만들 계획으로 투자를 받으러 다녔는데 2004년 일론 머스크가 650만달러를 투자하면서 본격적으로 테슬라 로드스터의 개발이 시작되었다.
2004년 650만 달러를 투자한 일론 머스크는 최대주주겸 이사회 의장이 되었다.
그러고 나서는 모터 개발을 주도한 J.B. 스트라우벨 등의 엔지니어를 영입했으며 법률, 회계 담당자를 주선하는 등 간접적인 역할을 하였다.
2005년과 2006년 각각 1000만 달러씩 추가로 2천만 달러를 투자한 뒤 테슬라 마스터플랜을 발표하였다.
1.제품
▶자동차
테슬라 로드스터: 2006년 6월 19일 발표, 2008년 3월 17일 출시함.
테슬라 모델 S [14] : 2009년 3월 26일 발표, 2012년 6월 22일 출시함.
테슬라 모델 X: 2012년 2월 8일 발표, 2015년 9월 29일 출시함.
테슬라 모델 3: 2016년 3월 31일 발표, 2017년 7월 28일 출시함.
테슬라 모델 Y: 2019년 3월 15일 발표, 2020년 3월 13일 출시함.
테슬라 세미: 2017년 11월 16일 발표, 2022년 출시함.
테슬라 사이버 트럭: 2019년 11월 21일 발표. 2023년 출시 예정함.
▶에너지 사업-파워 월 및 파워팩
2015년 4월 30일에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테슬라 에너지 론칭 행사에서 가정용 배터리 파워 월과 산업용 배터리 파워팩을 공개했다.
각각의 용량은 10 kWh와 100 kWh이며 가정용은 9개까지, 산업용은 제한 없이 연결하고 용량 확장이 가능하다고 한다.
제품의 기능은 에너지를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사용하는 것인데, 피크타임 요금을 피하거나 전력이 불안정한 지역에서 일종의 UPS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잠깐
UPS란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무정전 전원 장치로써
컴퓨터와 주변 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을 조절하는 장치이며 , 전지 회로의 전압이 끊어지거나 갑자기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경우를 제한한다고 한다.
론칭 행사에서 일론 머스크는 이 배터리로 지구의 전력시스템 전체를 개혁하겠다는 의지를 공표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파워 월 20억대가 지구 전체에 깔려야 할 것인데, 이미 자동차는 20년마다 20억대가 완전히 교체되고 있다.
전력은 자동차보다 수요와 규모가 큰 사업이라며 실현 가능성을 이론을 발표했다.
발표 후 주문량이 수만 건이 넘어 몇 년간 예약이 밀려있다고 한다. 미국 정부의 전력망 개혁안과 맞물려 수요 연동형 가격 운영의 법제화와 같은 법률적 정치적 이슈까지 불러일으키고 있다.
▶메가팩
발전소/송전망급 에너지 저장 체계에서도 실적을 올렸다.
이렇게 성공적인 운영으로 2030년까지 모든 전기를 100% 대체에너지를 활용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솔라루프
2016년 10월 28일에 공개된 파나소닉의 태양광 발전 패널을 내장한 지붕 외장용 패널로 , 2021년부터 파워 월에 흡수 통합되었다고 한다
이상으로 간단하게 지속 가능한 에너지로의 전 세계적 전환을 가속화하는 테슬라였습니다
BYE!

'기업에 대하여 > 기업에 대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FT-마이크로 소프트에 대하여 (1) | 2022.11.29 |
---|---|
글로벌 기업-아마존(AMAZON) (0) | 2022.11.16 |
글로벌 기업-구글(google) (0) | 2022.11.16 |
글로벌 기업-APPLE(애플) (0) | 2022.11.15 |
글로벌 기업 2022년 시가총액 1위 사우디 아람코! (0) | 2022.11.14 |
댓글